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

야생화 소개-약모밀(어성초),약모밀 효능, 어성초 효능 이번 야생화 소개는 어성초라고도 불리는 약모밀입니다. 약모밀(어성초)의 생육특성부터 약모밀(어성초)의 효능과 부작용, 먹는 법까지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1. 생육특성 약모밀, 어성초는 우리나라 울릉도의 들이나 제주도와 중부 지방의 평야 음습한 곳에서 자라는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뿌리 부위는 식용하거나 약재로 썼으며 줄기와 잎은 엮어 그늘에서 말린 뒤 약재로 썼다고 합니다. 만선식물에 의하면 이뇨제나 독을 빼는 데에 효과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중부 지방 내륙의 습한 지역에서도 간간이 볼 수 있는 풀이며 번식력이 강한 약초로 땅속의 뿌리는 흰색으로 연하며 옆으로 길게 뻗으면서 자랍니다. 중심줄기에는 털이 없으며 높이 20~50센티미터 정도로 곧게 자라며, 잎자루가 길고 잎은 넓은 스페이드.. 2024. 2. 23.
야생화 소개-용담, 용담의종류, 용담 효능 및 부작용 가을에 피는 야생화인 용담의 특징과 용담의 종류 용담의 효능과 용담의 부작용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용담의 특징 용담은 여러해살이풀이며 제주도와 전국의 산에서 흔히 자라며 늦가을까지 꽃을 피우며 한방에서 약재로도 쓰이고 있습니다. 용담은 생명력이 강하고 뿌리맛이 매우 쓰다고 하여 용담이라 부른다고 합니다. 용담은 어린싹과 부드러운 잎은 먹을 수 있으며 뿌리에는 약효가 있어 풍한 감기, 각기병, 수종을 치료하는데 효능이 있습니다. 일본한방에서는 다른 약재의 대용으로도 쓰였습니다. 용담은 낮은 산부터 높은 산까지 널리 분포하며 가느다란 네 개의 선이 줄기에 있으며 뿌리의 줄기에는 짧고 굵은 수염이 나 있습니다. 잎은 피침형으로 잎자루는 없고 가장자리는 밋밋한 물결 모양을 갖고 있습니다. 잎의 길이는.. 2024. 2. 19.
야생화 소개-구절초(들국화) 가을에 피는 야생화 구절초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구절초의 특징과 구절초의 효능 및 부작용과 먹는 법까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 구절초 전국의 산에서 잘 자라는 식물로 약재로도 많이 쓰이는데 흔히 들국화라고 불리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음력 9월 9일에 채취한 구절초는 효능이 뛰어나다고 해서 구절초라고 불려졌다고 합니다. 또 다른 이름으로 선모초, 고뽕, 창다구이 라고도 불려지고 있습니다 식물도감에 따르면 우리나라 각 지방과 몽골의 넓은 평야 여기저기서 자랐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에는 비슷한 종들이 여러 가지 있는데 지금은 모두 통틀어 구절초라고 부르고 있지만 구절초는 원래 한 종류에 불과했다고 합니다. 가지와 줄기, 잎을 삶아서 약재로 썼다고 해서 구절초고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2.. 2024. 2. 18.
야생화 소개-금낭화 이번 주제는 양귀비과의 금낭화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금낭화는 봄에 피는 야생화이며 조리를 해 먹기도 하며 한방의 약초로도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금낭화의 특징부터 약초로써의 효능과 부작용 먹는 법 키우는 법까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금낭화 소개 금낭화의 이름은 한자로 풀이하자면 비단 금, 주머니 낭, 꽃 화를 쓰는 비단주머니라는 뜻을 갖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남부와 중부의 산 바위틈에서 많이 자라는 양귀비과의 여러해살이풀입니다. 남부지방이나 중부지방의 산속의 사원을 지나다 보면 화단에서 종종 볼 수 있는 풀이기도 합니다. 4월에서 6월 사이에 개화하지만 따뜻한 지방에서는 3월 말부터 꽃이 피기도 합니다. 주머니가 달린 하트 모양의 꽃잎이 아름다운 금낭화는 우리 주변에 관상용으로 많이 키워지고 있.. 2024.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