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야생화 소개-능금

by 진리01 2024. 2. 17.

장미과 식물인 능금은 사과와 비슷하지만 다른 품종으로 4~5월에 꽃이 피고 가을에 열매를 맺으며 때로는 나무에서 향기를 추출하기도 합니다. 이번글에서는 능금을 소개하며 능금과 비슷한 사과와는 어떤 점이 다른 지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능금 개요

우리나라 중부 북부와 만주의 산지에서 잘 자라는 낙엽성 교목입니다.

능금은 능금나무, 임금나무, 홍화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려지며 중국에서는 임금이라고도 부르고 있습니다

과거 문헌을 보면 산에서 자라는 재래봉의 화분이 붉은색이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붉은 꽃'이라는 뜻으로 ‘홍화’란 이름은 여기서 온 것 같습니다.

홍화는 우리나라의 기후와 잘 맞아서 매우 흔합니다. 많은 개량종이 우수한 품종과 교배되었습니다. 이 개량종은 대구 밀양 삼랑진 중부에서 많이 재배되며 과수농가의 소득이 되기도 합니다. 1900년경 우리나라는 유럽과 미국에서 개량종을 들여왔습니다. 이 개량종은 열매가 굵고 맛이 좋은 품종으로 홍화 개량종과 함께 재배됩니다.

2. 능금 특징

능금은 높이가 10m 정도로 자라며 어린 가지에 털이 많습니다. 잎은 타원형으로 표면에 털이 있으나 서서히 없어지고 잎 가장자리에 가는 톱니가 나 있습니다. 잎자루는 길이가 1~4cm 정도이고 털이 많습니다. 5월에 새잎처럼 연홍색 꽃이 피어나고 꽃받침 관에 털이 자라며 꽃받침 잎은 뒤로 굽습니다. 수술은 1개, 암술대는 5개인데 아랫부분이 합쳐져서 털이 납니다.

열매는 7~10월에 먹음직스럽게 익습니다. 열매의 크기는 지름 4~4.5㎝ 정도로 꽃받침 잎의 중앙이 돌기처럼 튀어나와 있습니다. 열매는 황적색을 띠며 흰색 가루 같은 것이 덮여 있습니다. 능금이 잘 자라는 토질은 화강암, 화강암질 편마암, 변성퇴적암, 경상 등이며 주로 접목에 의해 번식합니다.

3. 사과 특징

능금은 사과 같은 것으로 간주하기 쉽지만 사과와는 다릅니다.
사과나무는 키가 약 10m로 능금과 거의 비슷하지만 작은 가지에 씨눈이 있고, 처음에는 털이 많고 자주색입니다. 잎의 모양은 비슷하지만 길이는 7~12cm 정도입니다.

잎 가장자리에는 가늘고 둔한 톱니가 있으며, 어린잎은 가는 털로 덮여 있다가 곧 사라집니다.

잎은 표면이 짙은 녹색이고, 잎자루는 길이가 2~3cm 정도이고 털이 있습니다.
흰색꽃이  4~5월에 피며 지름이 약 4cm입니다. 5~7개의 꽃이 한 곳에서 피고, 꽃잎은 길이가 약 2~3cm이고 털이 있습니다. 꽃받침 잎은 5개로 약간 뒤로 젖혀져 있으며 연한 붉은색을 띠고 있습니다. 암술에 털이 나며 열매는 둥글고 지름이 약 3~10cm입니다.
열매껍질의 색은 노란색 바탕에 빨간색이며 8월과 9월에 익습니다. 재배 종류도 많고 종류에 따라 열매의 개화와 숙성이 다릅니다. 열매의 모양도 둥글고 약간 길며 둥글습니다. 열매의 색은 청색, 노란색, 빨간색까지 다양하며 가을 과일 중에서 가장 맛있습니다.
현재 저장기술의 발달로 일 년 내내 모든 품종의 맛을 높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중에서도 홍옥과 국광이 유명합니다.

 

4. 능금의 활용

능금은 여러 가지로 활용도가 높은 식물입니다.

능금은 식용, 관상용, 공업용, 약용등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열매의 단맛과 신맛이 잘 어우러져 생으로 먹어도 맛이 좋고 술을 빚거나 잼이나 주스를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과자로도 만들고 또 많은 정원에 관상용으로 심어져 키워지고 있습니다. 능금은 향기로운 나무여서  향을 추출하여 향수나 화장품의 향료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한의학이나 민간에서는 왕(王)이라 부르며 강장제, 혈액정화, 기침억제, 이뇨제 등에 다른 약과 함께 처방하여 약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봄에 피는 꽃도 아름답지만, 가을의 열매는 맛도 좋고 예쁘기도 하여 그림의 소재로 많이 사용됩니다.
특히 목재는 단단하고 아름다운 광택이 있어 조각용으로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5. 능금의 주요 재배지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능금을 생산하고 있는 곳은 대구입니다.

거창, 함양등이 유명하며 뛰어난 맛을 자랑합니다.

 

6. 꽃말

유감, 참애호자, 은화

 

 

이번 글에서는 맛도 좋지만 여러 가지 쓰임새가 많은  버릴 게 없는 장미과 식물 능금에 관하여 알아보았습니다.